pt순위
<<<<<- 23 프로그래밍 (2025)>>>>>
자료형
view : 329
자료형의 이해
컴퓨터가 처리하는 데이터는 크게 숫자형 데이터와 문자형 데이터로 구분됨.
이러한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기 위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필요함.
C 언어는 이러한 효율성을 위해 기본 자료형을 제공함.
기본 자료형은 정수형, 실수형, 문자형으로 나뉨.
자료형의 크기에 따라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달라짐.
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해 처리할 값에 맞는 자료형을 선택해야 함.
자료형 사용 이유: 데이터 표현 방식 차이, 메모리 공간 적절 사용.
ANSI 표준에 따라 자료형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, 컴파일러 및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.

sizeof 연산자
피연산자의 메모리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반환하는 단항 연산자.
단항연산자, 다항연산자
연산자 종류 피연산자 수예시설명
단항 연산자1개++a, -a, sizeof(x)값 하나에 작용
2항 연산자2개a + b, x == y두 값을 계산하거나 비교
3항 연산자3개a > b ? a : b조건에 따라 값 선택

자료형의 실제 크기를 확인할 때 사용됨.
컴파일러 및 시스템 환경에 따라 자료형의 크기가 다를 수 있으므로, sizeof를 통해 확인이 필요함.
#include < stdio.h>
int main( )
{
printf("%d %d %d %d\n", sizeof(char), sizeof(short), sizeof(int), sizeof(long));
printf("%d %d", sizeof(float), sizeof(double));
return 0;
}

C 언어 자료형 크기 연산 (sizeof) 이해하기
CPU 처리: CPU는 int형을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.
자료형 변환: int보다 작은 자료형(char, short 등)의 연산 결과는 자동으로 int형으로 변환.
sizeof 연산자: sizeof()는 변수 또는 자료형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반환.
#include < stdio.h>
int main() {
char num1 = 1, num2 = 2;
printf("%d", sizeof(num1 + num2));
return 0;
}

좀 더 생각해보기

내용 보기


자료형
<<<<<- 23 프로그래밍 (2025)>>>>>
121 (1,423) / 60 (74) / 46,067 (220,578)

since 2023.07.27
zackie class in korea = zclx.kr
since 2021.07.05 zackie school in korea = zskool.kr
since 2015.03.01 zackie school in korea = zskool.com